명소

내원사 양산

향기소리 2020. 10. 21. 14:55
반응형

내원사 양산

 

 

내원사는 신라 문무왕 때 원효()가 창건하였다고 전하며, 전국적으로 대표적인 비구니 수도 선원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용연리 경부고속국도 위를 지나는 육교에서부터 내원사 입구까지 이어지는 6㎞ 길이의 계곡이 아름답기로 유명하여 천성산 내원사 일원이 경상남도 기념물 제81호로 지정되어 있다.

 

 

 

신라 문무왕 때 원효()가 창건하였으며, 『송고승전()』에 창건 설화가 기록되어 있다. 673년(문무왕 13) 원효가 동래군 불광산에 있는 척판암()을 창건하여 주석하던 중, 당나라 태화사의 1,000명 대중이 장마로 인한 산사태로 매몰될 것을 알고 ‘해동원효척판구중()’이라고 쓴 큰 판자를 그곳으로 날려 보냈다.

그곳 대중들이 공중에 떠 있는 현판을 신기하게 여겨 법당에서 뛰쳐나온 순간 뒷산이 무너져 큰 절이 매몰되었다. 이 인연으로 1,000명의 중국 승려가 신라로 와서 원효의 제자가 되었다. 원효가 그들이 머물 곳을 찾아 내원사 부근에 이르자 산신이 마중을 나와 현재의 산신각 자리에 이르러 자취를 감추었다. 이에 원효는 대둔사()를 창건하고 89개 암자를 세워 1,000명을 거주시켰다. 그리고 천성산 상봉에서 『화엄경()』을 강론하여 1,000명의 승려를 오도()하게 하였다.

이때 『화엄경』을 설한 자리는 화엄벌이라는 이름이 붙여졌고, 중내원암에는 큰 북을 달아놓고 사람들이 모이도록 하였다고 하여 집붕봉이라는 이름이 생겼으며, 1,000명이 모두 성인이 되었으므로 산 이름을 천성산이라 하였다 한다. 그 뒤 1646년(인조 24)에 의천대사가 중건하였고, 1845년(헌종 11)에 용운선사가 중수하였으며, 1876년에는 해령선사가 중수하였다.

1898년에 유성선사가 수선사()를 창설하고 절 이름을 내원사로 개칭하였다. 이때 동국제일선원()이라 이름 붙인 이후 선찰()로서 이름을 떨치기 시작하였다. 경허선사의 법제자인 혜월선사가 조실로 주석하면서 운봉선사, 향곡선사 등 한국 선종사()의 맥을 잇는 많은 선승()을 배출한 도량이 되었다.

6·25전쟁 때 산속에 숨어 있던 공비들의 방화로 완전히 소실된 뒤 1955년에 수덕사()의 비구니 수옥()이 5년 동안에 걸쳐 13동의 건물을 재건하여 현재는 독립된 비구니 선원으로 새롭게 중창되었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인 통도사()의 말사이다. 산내 암자로는 미타암(), 성불암(), 금봉암(), 원효암(), 조계암(), 금강암(), 내원암(), 안적암(), 익성암(), 노전암(殿) 등이 있다.

 

내원사는 전통사찰 제7호로 지정되었다. 또한 다른 문화재로는 보물 제1734호 양산 내원사 청동북,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06호 양산 내원사 아미타삼존탱, 문화재자료 제342호 양산 내원사 석조보살좌상이 있다.

 

 

천성산 내원사 일원경남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천성산에 있는 절. 경상남도 기념물 제81호.신라 문무왕 때 원효가 창건하였으며, ≪송고승전≫에 창건설화가 기록되어 있다. 전국의 대표적인 비구니 수도선원으로 알려져 있고, 내원사 입구까지의 6㎞ 계곡의 아름다움으로도 유명하다.

 

728x90
반응형

'명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천 직지사  (2) 2020.11.06
미타암 천성산  (0) 2020.10.28
홍룡사 와 홍류폭포 양산  (0) 2020.10.23
송광사 알기  (0) 2020.10.09
양산 통도사 여행  (0) 2020.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