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소

양산 통도사 여행

향기소리 2020. 9. 30. 15:22
반응형

양산 통도사 여행

 

양산 통도사 여행을 올려보겠습니다

처음이라서 시험입니다

 

 

통도사

[ ]

요약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영축산()에 있는 사찰.

통도사 경내

종파소재지

대한불교 조계종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지산리 583) 지도

한국 3대 사찰의 하나로, 부처의 진신사리()가 있어 불보()사찰이라고도 한다. 사찰의 기록에 따르면 통도사라 한 것은, 이 절이 위치한 산의 모습이 부처가 설법하던 인도 영취산의 모습과 통하므로 통도사라 이름했고(), 또 승려가 되고자 하는 사람은 모두 이 계단()을 통과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통도라 했으며(), 모든 진리를 회통()하여 일체중생을 제도()한다는 의미에서 통도라 이름지었다고 한다.

이 절의 창건 유래에 대한 《삼국유사》의 기록을 보면 신라자장()이 당나라에서 불법을 배우고 돌아와 신라의 대국통()이 되어 왕명에 따라 통도사를 창건하고 승려의 규범을 관장, 법식()을 가르치는 등 불법을 널리 전한 데서 비롯된다. 이때 부처의 진신사리를 안치하고 금강계단()을 쌓아, 승려가 되고자 원하는 많은 사람들을 득도케 하였다.

이렇게 창건된 이 절은 이후 계율의 근본도량이 되었고, 신라의 승단()을 체계화하는 중심지가 되었다. 창건의 정신적 근거이며 중심인 금강계단은 자장과 선덕여왕이 축조하여 부처의 진신사리를 안치한 이후 오늘날까지 잘 보존되고 있다.

경내의 건물들은 대웅전과 고려 말 건물인 대광명전(殿)을 비롯하여 영산전(殿)·극락보전(殿) 외에 12개의 법당과 보광전(殿)·감로당() 외에 6방(), 그리고 비각()·천왕문()·불이문()·일주문()·범종각() 등 65동 580여 칸에 달하는 대규모이다. 이 건물들은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01년(선조 34)과 41년(인조 19) 두 차례에 걸쳐 중수하였는데 대광명전을 제외하고는 모두 근세의 건물들이다.

이 사찰은 부처의 진신사리를 안치하고 있어 불상을 모시지 않고 있는 대웅전이 국보 제29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 밖에 보물 제334호인 은입사동제향로(), 보물 제471호인 봉발탑()이 있고, 보물전시관에는 병풍·경책()·불구() 및 고려대장경(해인사 영인본) 등의 사보()가 소장되어 있다. 소속 암자로는 선원()인 극락암을 비롯하여 백운암·비로암 등 13개의 암자가 있다.

 

728x90
반응형

'명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천 직지사  (2) 2020.11.06
미타암 천성산  (0) 2020.10.28
홍룡사 와 홍류폭포 양산  (0) 2020.10.23
내원사 양산  (0) 2020.10.21
송광사 알기  (0) 2020.10.09